Threadser.net
數據
關鍵字
功能建議
Following
Threads
Login
串文
串文鏈結
2024-09-11 05:09
영생하고 번식기능을 잃은 생물이 있다고 칩시다 만약 어떤 이유로 환경이 바뀌어서 생존에 적합하지 않은 조건이 된다면 서서히 멸종하겠지요 영생하면서 번식기능도 있는 생물이 있다면 한정된자원을 분배하는 문제가 생길겁니다 결국 그 분배방식에 따른 일종의 선택(도태라고도 할 수 있죠)이 발생하고 영생이라는 조건이 무의미해지는 결과가 도출됩니다
讚
4
回覆
1
轉發
作者
HeonSoo LEE
2heonsoo
粉絲
串文
108+
讚
回覆
轉發
24小時粉絲增長
無資料
互動率
(讚 + 回覆 + 轉發) / 粉絲數
Infinity%
回覆 (BETA)
最先回覆的內容
發文後
用戶
內容
16 分鐘內
HeonSoo LEE
2heonsoo
그리고 죽음을 생명체가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기능이 붕괴된 상태 라고 이해한다면, 앞의 결과와 합쳐서 죽음이 왜 효율적인지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어차피 영생이 무의미하다면, 모든 기관을 최상의 컨디션으로 관리하기보다는 가장 잘 쓸 수 있는 순간까지만 유지하고, 서서히 유지보수비용을 줄여나가면서 자원을 아끼는게 효율적일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