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1 03:33
여기서 민간신용은 금융기관을 제외한 기업, 가계 등 민간 비금융부문의 부채를 의미한다.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신흥국에서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이 2000년 이래 1.3배 이상 올랐다, 중국에서는 이 비율이 2배 가까이 상승했다. 물론 민간신용 증가가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부채가 늘면서 자금 조달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진다. 실물자산이나 교육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면서 성장에 기여하기도 한다. 다만, 민간신용 증가만으로는 성장을 유발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일정 수준 이상에선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고 BIS는 보고서에서 강조했다. 부채와 성장의 관계가 처음에 정비례하다가 어느 순간 꼭짓점을 찍고 반비례로 돌아서는 '역 U자형' 곡선을 그린다는 얘기다. https://naver.me/F5DsGH13
回覆
轉發

作者

해요
bd.haeyo
粉絲
串文
188+

回覆

轉發

24小時粉絲增長

無資料

互動率

(讚 + 回覆 + 轉發) / 粉絲數
NaN%

回覆 (BETA)

最先回覆的內容
發文後用戶內容

© 2025 Threadser.net. 版權所有。

Threadser.net 與 Meta Platforms, Inc. 無關,未經其認可、贊助或特別批准。

Threadser.net 也不與 Meta 的"Threads" 產品存在任何關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