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adser.net
數據
關鍵字
功能建議
Following
Threads
Login
串文
串文鏈結
2024-09-12 00:34
우리나라 주거용부동산은 강남접근성을 중요시하자노아 그러면 세계 주요도시들도 주거요 부동산 가치를 메인업무지까지의 접근성으로 따져 우리처럼? 예를들어 미국 뉴욕은 맨하탄 접근성? 일본 도쿄는 긴자 또는 롯본기 까지의 접근성? 베이징은 왕징까지의 접근성 유럽의 런던 ,베를린 , 파리의 업무지구와 메인도심은 어디인지 몰라서… 주요도시의 수도의 메인 업무지구까지의 접근성으로 따지는게 일반적이야?
讚
回覆
轉發
作者
마이더스
kkkiiippp999
粉絲
串文
60+
讚
回覆
轉發
24小時粉絲增長
無資料
互動率
(讚 + 回覆 + 轉發) / 粉絲數
NaN%
回覆 (BETA)
最先回覆的內容
發文後
用戶
內容
7 小時內
Artifacts LAUNE
artifacts.laune
접근성으로 따지는게 일반적이고 이미 선진국들의 상업용(+오피스) 부동산 업계에서는 통근 시간이 30분 늘어나면 출퇴근을 포기하는 비율이 확 늘어난다는 어떤 티핑포인트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해당 기업 취직을 포기하거나 주거지를 옮긴다)를 찾은 것 같습니다. 다만, 런던&파리 등의 유럽 주요도시들은 출퇴근 = 자전거 또는 대중교통 이 보통 디폴트여서 주차 편의성이나 도심지역 교통난 등은 고려요소가 아니기에 상대적으로 서울의 오피스 빌딩들이 구축해놔야 하는 요소와는 조금 차이가 있다는 포인트가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