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adser.net
數據
關鍵字
功能建議
Following
Threads
Login
串文
串文鏈結
2024-09-05 21:59
법조계에 나르시시스트가 많이 몰리는 걸까? 근 이 년 동안에 평생 만날 나르들은 다 만난 듯. 미국에 나르 성향이 강한 사람이 많은 걸까 생각을 해 봤는데 로스쿨이나 로펌 밖에서 만난 사람들은 안 그래서 국민성은 아닌 것 같아. 지배/소유 성향이 강하고 동등하게 인간관계를 못 맺는 사람이 너무 많아.
讚
回覆
轉發
作者
Kate Lee
katelee0131
粉絲
串文
39+
讚
回覆
轉發
24小時粉絲增長
無資料
互動率
(讚 + 回覆 + 轉發) / 粉絲數
NaN%
回覆 (BETA)
最先回覆的內容
發文後
用戶
內容
22 分鐘內
ad_libitum
vox_ad_libitum
법조계 뿐만은 아니고 사회의 보상체계가 나르시시스트 (그리고 소시오패스적) 성향이 있는 개인들에게 유리한 부분이 많으니 그런 보상을 강하게 추구하는 사람들일수록 그게 가능한 환경에 더 유입되고 + 그 환경에서 생존할 확률이 더 높지 않을까 싶어. 그렇단 건 아니고 그럴 수도 있겠다는. 우스갯소리로 하던 말로는 법조계에 dark triad (narcissism, machiavellianism 글고 psychopathy) 해당되는 사람들이 외부보다 몇 배는 높을거라고 했는데 그걸 실제로 드러낸 연구가 있는지 궁금하긴 하다. 그리고 “법조계”라고 묶어 표현하긴해도 전문분야 따라서 성향이 갈리기도 하고. 나르시시스트는 법조계에도, 학계에도, c-level 임원들중에도 (그리고 의외일 수 있지만 정신건강에 종사하는 사람들중에도) 비율이 높다고 하는 “카더라”를 듣긴 했는데, 이것도 진위 여부는 안 찾아봐서 모르겠음. (내가 찾긴 귀찮고 누가 찾아 올려주면 재밌게 볼 듯 ㅋㅋ)
3 小時內
프로앤 | 인플루언서
pro_n_
공감
6 小時內
❤️👩🏻🌾🧑🏻🌾🐶😽❤️
kongdaki_konee_2020
오 맞는듯. 내가 같이 일해본 빅로 미국변(한국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나르시즘+ 잘난척 + 경쟁심 탑재한것 같아. 그들끼리도 서로 니가 잘났네 내가 잘났네 (내가 보기엔 도긴개긴인데 말이지) 하고,, 근데 로펌이란 곳이 그런 성향(경쟁심 우월주의 나르시즘같은 것)을 안가지고 있으면 살아남기 힘들어서, 대체적으로 그런 성향이 있는 사람들이 가는것 같기도 해. 그런 성향이 아닌 사람들은 빅로에 들어가도 오래 못다니는것 같아. 13년 이상 사내 변호사로 일하면서 미국 빅로와 일하면서 느껴온 나의 관찰에 근거한 생각이야.